세계일보

검색

전세난이 부른 주택매매 폭발…'과열' 걱정

입력 : 2015-03-09 20:29:16 수정 : 2015-03-09 23:33:0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2월 서울 주택거래 9년만에 최대, 주말 분양시장엔 15만명 몰려
경매 응찰자도 2006년이후 최대, 봄 이사철 ‘집’관련 시장 들썩
가계빚·공급과잉 등 부작용 우려… 장기적 안목으로 대책 마련해야
A씨는 지난달 법원 경매를 통해 서울 서초구의 아파트 한 채를 11억원 정도에 낙찰받았다. 이 가격은 법원 감정가 대비 97%에 달하는 금액이다. 감정가의 80%도 비싸다는 게 경매판이지만 A씨는 개의치 않았다. A씨는 “근무지가 서초구를 벗어날 일이 거의 없는 직업인데, 집을 사려고 해도 매물이 없고, 전세도 씨가 말라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최근 경매에선 이런 경우가 심심찮게 발견된다. 감정가 대비 낙찰가율 90%는 보통이고, 110%에 달하는 경우도 나온다. 이창동 지지옥션 책임연구원은 “최근 집값 상승으로 낙찰가가 높아도 실거래가에 비해 몇 천만 원은 적게 들고, 집 구하기 어려운 세입자들이 몰려 경쟁률이 높다”고 말했다. 지지옥션이 취합한 2월 전국 경매의 평균응찰자 수는 4.5명으로, 2006년 11월 이후 가장 높다.

이사철 시작과 함께 ‘집’과 관련한 모든 시장이 과열되고 있다. 아파트는 물론 과거 선호도가 낮았던 연립·다세대 등 ‘비아파트’ 거래량이 늘었다. 아파트 분양시장엔 연일 수만 명이 몰려들고, 마지막 수단인 경매 열기도 후끈하다. 모두 ‘미친 전세’가 원인이다.

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 거래량이 2006년 이후 2월 거래량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아파트 거래는 5만7885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6% 감소했다. 하지만 연립·다세대(1만1999건)는 4.6%, 단독·다가구(8980건)는 0.7% 늘었다. ‘전세난’에 지친 임차인들이 아파트에 비해 값이 싼 연립·다세대·다가구 주택 등을 사고 있다는 의미다. 남진 서울시립대 교수(도시공학)는 “과거에는 집주인이 전세금을 올려도 임차인이 오르는 비용을 충당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주거를 이동해야 하는 이유가 된다”고 설명했다.

청약 수요도 폭발적이다. 수도권 청약 1순위 자격 완화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폐지 등 호재를 앞두고 이달 들어 문을 연 전국 아파트 모델하우스 11곳에 지난 휴일까지 최소 15만명이 다녀갔다. 이런 분위기는 수주 동향에서도 묻어나 대한건설협회가 취합한 지난 1월 국내건설공사 수주액은 9조211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2.7% 급증했다. 통상 1월은 수주 비수기인데 민간부문, 그중에서도 신규주택, 재건축 등 건축공종이 94.5%나 늘면서 전체 수주고를 견인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들이 당장 부동산 경기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긴 안목에서는 불안하다는 반응이다. 우선 올해 분양 물량이 입주하는 2년쯤 뒤의 주택 과잉공급이 우려된다. 국내 주택보급률은 지난해 기준 103%다.

지금의 저금리 기조가 언제까지 계속되리란 보장도 없다. 금리가 인상되면 자산가치가 아파트에 비해 낮은 연립이나 다세대 구매자가 대출을 안고 있을 때 더 큰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아직 대다수(70.2%)가 아파트를 선호하는 상황에서 ‘울며 겨자 먹기’로 연립 등으로 옮겨간 구매자들의 만족도 저하와 심리적 박탈감도 우려된다. 전성인 홍익대 교수(경제학)는 “돈 때문에 밀려서 연립이나 다세대를 매입했는데 나중에 가격이 하락하면 주거의 질도 낮아졌는데 투자 부분까지 이중으로 손해를 보는 것”이라며 “이들 피해를 막기 위해 정부가 공공임대주택을 더 많이 지어 보편적 주거복지를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기천·김유나 기자 n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