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만 거대 도시 불안함...늘어난 인구 신도심 쏠려
수도권 관문이자 인구 300만을 달성한 제3의 도시 인천.

눈부신 발전의 이면에는 우리가 과거에 두고 온 원도심이 자리하고 있다. 역사성과 지역 특색을 갖춘 원도심은 주목받으며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임대료 상승에 의한 원주민 이탈)을 걱정할 정도지만, 단지 낡기만 한 대다수 지역에서는 수북이 쌓인 쓰레기와 부서진 도시 기반시설이 주민들의 고통을 대변한다. 원도심과 신도심의 동반발전 전략이 이번 6·13 지방선거에서 제시돼야 할 까닭이 여기에 있다. ▶관련기사 19면

2일 행정자치부와 인천시의 주민등록 기준 인구통계를 살펴본 결과, 2001년 말 인천 인구는 총 256만4598명이었다. 반면 올 3월 인구는 295만1442명으로 38만6844명이 늘었다. 이 가운데 인구가 줄어든 기초자치단체는 동구, 남구, 부평구, 계양구로 나타났다.
<그래픽 참조>

늘어난 인구는 대부분 신도심에 집중됐다. 특히 경제자유구역 개발이 이뤄진 연수구와 서구, 논현택지 개발로 인구가 폭증한 남동구, 원도심에 속하지만 공항과 경제자유구역을 끼고 있어 영종도 인구가 늘어난 중구로 사람들이 몰렸다.

그러나 낙후된 원도심은 사람들의 발길이 끊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 인천발전연구원이 최근 공개한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역소멸 대응방안 연구'에 따르면 2005년 소멸위험지역은 강화군·옹진군 10개 면지역에 국한돼 있었다. 하지만 2015년 들어 중구 4개동·동구 3개동·남구 1개동이 위험지역에 새로 편입됐고, 주의지역도 남구 10개동·부평구 5개동 등으로 늘어났다.

원도심 낙후의 배경에는 1985년 인천시청 이전, 2001년 이후 송도·청라·영종 경제자유구역 개발 본격화와 인천국제공항 개항, 2007년 이후 미국 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의 사건이 있었다. 인천은 이에 대응해 지역 곳곳에서 공공자금을 들여 도시개발사업을 벌이거나, 재개발·재건축 사업 지구 200여곳을 승인하는 등 적극적인 개발 정책을 폈지만 대부분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진영 기자 erhist@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 선거정책 어젠다] 개발 10년 … '두 얼굴'의 인천 2000년대 대형사업 중심지… 재정위기 등 악재 겹쳐 참패 지역마다 다른 정체성 형성 "도시재생 중심 시 정책 절실" 인천지역 신도심이 발전하는 동안 원도심은 대책 없이 방치됐다. 장밋빛 미래로 제시된 대형 개발사업들은 하나 둘 몰락했고, 이제 구역 해체 수순을 밟거나 이미 사용한 땅값 때문에 은행에 이자만 내는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서울 강남과 강북에서 볼 수 있었던 주민 갈등도 조금씩 고개를 드는 중이다. 6·13 지방선거에 도전하는 본선 주자들이 속속 공천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이들이 앞으로 어떤 대책을 내놓을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