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시장의 한?중?일 경쟁분석 및 대응방안
인도시장의 한?중?일 경쟁분석 및 대응방안
목차

요 약 / 1

 

Ⅰ. 인도경제 개황 및 수입시장 현황

 1. 인도의 경제개황 및 전망

 2. 인도의 수입시장 현황

 

Ⅱ. 인도시장에서 한·중·일 경합현황

 1. 한중일 진출규모

 2. 인도시장 주요 수출품목의 한·중·일 경합분석

 3. 경합품목의 점유율 증감요인

 

Ⅲ. 한·중·일 경합사례

 한-중 경합품목 경쟁사례

 한-일 경합품목 경쟁사례

 한-중-일 경합품목 경쟁사례

 

Ⅳ. 시사점 및 대응전략.    끝.

요약

□ 인도의 경제현황 및 전망

 ◦ 2003년 이후 연평균 8%대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던 인도는 최근 유로존 글로벌

   경제위기와 인플레이션 등을 이유로 2012년 경제성장률이 주춤하였으나, 인도 정부는

   재정위기 돌파와 외국인 튜자유치를 위해 강력한 경제개혁안을 발표하였고 최근

   멀티브랜드 소매업을 해외투자자들에게 개방하는 법안을 승인하는 등 점진적인 개혁,

   개방 노력으로 재정적자와 경상수지 불균형이 차츰 해소될 것이라는 전망 우세

 ◦ UN 세계인구전망에 따르면 2030년 인도는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의 인구 대국이 될

   것이고, 꾸준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구매파워의 증가로 ‘세계 최대의 시장’ 으로

   부상될 것이라 예상됨에 따라 인도시장에서의 한국의 선점이 중요함

 

□ 인도시장에서 한·중·일 경합

 ◦ 2001년 인도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비중은 한·중·일 삼국이 비슷한 양상이었으나

   10년간 중국의 점유율이 급증하면서 2012년 현재 인도 전체 수입 시장의 11.9%의 비중을

   보임

 ◦ 반면 일본의 수출액은 증가하였으나 점유율은 3.5%에서 2.4%로 감소하였고, 한국은

   수출액 및 점유율 모두 증가세를 보임

 ◦ 일본은 정부주도의 인도투자를 통한 경제협력과 기업들의 M&A, 합작투자의 형태로

   인도 진출을 꾀하는 반면, 중국은 인도의 對중국 무역제재에 대한 대안으로 R&D센터나

   생산 공장을 인도 현지에 건립하는 등의 우회적인 형태로 인도 진출을 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대인도 수출 주요 25대 품목 중 중·일 양국과 수출 점유율 및 순위에 대해

   분석하여 그 요인을 파악하고 우리 기업이 인도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인도시장 25대 주요 수출품목의 한·중·일 경쟁분석

 ◦ 2001 회계연도에 한국의 對인도 25대 수출품목 중 한·중·일의 품목별 순위변화를

   살펴보면 한·중·일이 각각 7개, 10개, 8개를 차지하며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는 반면, 10년 후인 2011 회계연도에서는 24개 품목에 대해 중국이 1등을 차지하였고,

   한국은 불과 1개 품목에서만 1위를 함

 ◦ 한·중·일 중 한국이 점유율 1위를 차지했던 고무 및 그 제품(HS40)에서 중국에게

   1위를 빼앗겼고 특히 한국이 그동안 강세를 유지해 오던 차량 및 부분품과 부속품(HS87)

   품목에서 최근 중국의 상승세에 눌려 한국의 점유율이 20% 감소세를 보임

 ◦ 철강(HS72)제품의 경우 인도의 전체 철강 수입액 중 한·중·일의 비중이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은 도금과 냉연코일 중심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수출하는

   반면, 중국은 열연코일 중심으로 수출하고 있음

  ※ 최근 일본의 고베제강과 신일본제철 등이 인도 철강 회사들과 제철 플랜트 및 합작사를

     공동설립 예정이어서 그 경쟁이 더욱 심화 될 것으로 예상

 

□ 시사점 및 대응방안

 ◦ 한국의 對인도 수출 규모는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주요 수출품목에서 일본, 중국

   간의 경쟁심화

  - 최근 중국내 반일감정 격화로 일본기업들이 ‘탈중국화’를 선언하며 중국내 사업장을

    동남아 및 인도로 옮겨가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있음

  - 이와 더불어 한국과 일본제품의 품질에 대한 인지도 상승 및 양국의 공격적인 투자

    확대 등으로 인해 수출 규모와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증가 중

 ◦ 한국이 가열되고 있는 한·중·일 경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한-인도 CEPA의 적극적

   활용 및 M&A와 합작투자를 통한 직접적인 진출방안 모색 뿐만 아니라 사회적책임활동

   (CSR)을 통한 기업이미지를 제고하거나 인도기업의 경영철학인 주가드(Jugaad) 정신을

   기업에 체득 시키는 등 인도 진출에 대한 중장기적인 플랜이 중요할 것으로 전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