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시장변동성이 국제무역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에 기초해서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시장변동성이 무역수지와 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며, Eviews 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GARCH(1, 1)-M 모형과 ARCH(1, 1) 모형을 적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본연구와 유사한 그동안 대부분의 연구들은 국제무역과 경제적 효과 간의 관련성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시장변동성과 무역수지와 교역량에 대한 자료수집의 어려움 때문에 환율변동성의 자료만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시장변동성을 환율변동성, 주식변동성, TED 스프레드, CDS 스프레드, 유가, S&P 500 등의 내․외생변수를 사용하여 시장변동성이 무역수지와 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인도 간의 공인경제운영자 상호인증협정(AEO-MRA) 체결에 따른 시장변동성과무역수지와 교역량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년 10월에 한국과 인도 간의 공인경제운영자 상호인증협정(AEO-MRA) 체결된 이후에양국 간의 무역수지와 교역량은 모두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시장변동성의 충격이 지속적으로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둘째, 주식변동성은 무역수지와 교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에, 환율변동성은 무역수지와 교역량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TED 스프레드와 CDS 스프레드는무역수지와 교역량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S&P 500은 무역수지와 교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에, 유가는 무역수지와 교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향후의 연구에서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방향이 반영되어야 하겠다.


The anteceden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volatility and international trade has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as market vol atility affects trade balance and volu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that the effect of market volatility on trade balance and volume. GARCH(1, 1)-M model and ARCH(1, 1) model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is using Eviews 8.0 statistics program. Most previous research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trade and economic effects. There are few empiric al studies that focus on foreign exchange volatility data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llect in many cases of market volatility and trade balance and volume. However, this researc h measures market volatility such as foreign exchange volatility, stock volatility, TED spr ead, CDS spread, oil price, and S&P 500 differently than previous research, which is mostly focused on the market volatility and trade balance and volume measurements. This study provides some policy and practic al implications to mutual recognition agreem ent with authoritized economic operator (AE O-MRA) in terms of market volatility and trade balance and volume. First, after the approval of Korea-India AEO-MRA in October 2015, Korea and India is expected to increase their trade balance and volume and also to persist ent a market volatility shocks. Second, while stock volatility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rade balance and volume, foreign exchange volatility have a nega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rade balance and volume. Third, TED spread and CDS spread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rade balance and volume. Lastly, while S&P 500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rade balance and volume, oil price have a nega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rade balance and volume. Based on the find ings of this study, related implications and future avenues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