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현대미술 쉽게보기

에드바르 뭉크

[ Edvard Munch ]

출생 - 사망 1863.12.12. ~ 1944.1.23.

에드바르 뭉크(Edvard Munch, 1863~1944)는 노르웨이의 뢰텐(Løten)이라는 지역에서 태어났다. 군의관인 아버지와 이지적이고 자상한 어머니를 둔 뭉크는 누나와 3명의 동생들 사이에서 자랐다. 그가 잘 따랐던 누나 소피에(Sophie)와 뭉크는 어머니의 예술적 재능을 물려받아 어릴 적부터 그림을 잘 그렸다고 한다. 뭉크가 다섯 살 되던 해인 1868년에 어머니가 결핵으로 사망하면서 남겨진 아이들은 이모인 카렌과 아버지가 돌보게 되었고, 누나인 소피에 역시 같은 병으로 1877년에 사망한다.

1 [병실에서의 죽음] 1895
2 [여동생 잉게르] 1892

어린 시절 경험한 가족의 죽음과 이로 인한 공포는 그의 전 생애에 걸쳐 작품의 주제가 되었다. 허약 체질로 태어나 잔병치레가 잦았던 뭉크는 어머니의 죽음 이후 변해가는 아버지와 계속되는 가난 때문에 더욱더 고통스러웠다. 뭉크의 아버지는 슬픔을 신앙의 힘으로 극복하려 하며 점점 더 광적으로 변했고 종종 아이들을 꾸짖으면서 어머니가 천국에서 지켜보며 슬퍼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려주곤 했는데, 이런 영향으로 뭉크는 악몽을 꾸거나 무시무시한 환상을 보기도 했다. 뭉크는 후에 “나의 아버지는 신경질적이고 강박적이었다. 그런 아버지로부터 나는 광기의 씨앗을 물려받았다. 공포, 슬픔, 그리고 죽음의 천사는 내가 태어나던 날부터 나의 옆에 서 있었다”, “나는 인류의 가장 두려운 두 가지를 물려받았는데 그것은 병약함과 정신병이다”라고 술회하였다.

뭉크의 여동생 중 한 명은 어린 나이에 정신병 진단을 받았으며, 5형제 중 유일하게 결혼했던 남동생 안드레아마저 결혼식을 올린 지 몇 달 만에 죽었다. 뭉크 또한 류머티즘, 열병, 불면증 등에 시달리고 있었고, 이런 성장 환경은 뭉크를 죽음의 미학에 몰입하게 만들었다.

뭉크의 가족은 1864년에 지금의 오슬로인 크리스티아니아(Kristiania)로 이사하지만, 아버지의 벌이가 신통치 않아 자주 이사를 해야만 했다. 이런 생활 속에서 10대의 뭉크에게 미술은 가장 큰 취미였으며, 이때 그린 드로잉과 수채화의 소재는 주로 집안의 내부나 약병 따위의 물건들, 그리고 풍경이었다.

화가로서의 출발과 첫사랑

뭉크는 아버지의 바람대로 기술대학에 들어가서 공학, 물리학, 화학, 수학 등을 공부하지만, 건강이 좋지 않아 제대로 공부할 수 없었고 이윽고 학업을 중단하게 된다. 이듬해 아버지의 실망을 뒤로 한 채 학교를 떠나 화가가 되기로 결심한 뭉크는 1881년 크리스티아니아에 있는 예술학교(Royal School of Art and Design of Kristiania)에 등록하여 그림공부를 시작한다. 그러나 1년 후 학교를 떠나 젊은 동료들과 함께 도심의 칼 요한 거리에 있는 스튜디오를 빌려 작업실을 차리고, 1883년 산업미술전에서의 전시를 시작으로 뭉크의 화가로서의 인생이 펼쳐진다. 그런 와중에 젊은 작가들을 후원해오던 화가 프리츠 탈로(Frits Thaulow)가 뭉크의 재능을 알아보고 그를 파리로 보낸다. 이 때 파리에서 머문 3주간의 경험은 뭉크로 하여금 그의 모든 감각을 기민하게 일깨우는 계기가 된다.

1885년 여름 뭉크는 프리츠 탈로의 형수인 밀리 탈로(Milly Thaulow)에게 빠지게 되는데, 이는 그의 인생에서 처음으로 경험하는 감정이었다(뭉크의 일기에서 하이베르그 부인으로 회상됨). 뭉크는 밀리에게 매우 순정적인 사랑을 바치지만, 그녀는 매우 자유분방한 보헤미안 기질의 여인이었다. 1889년 26살 무렵 파리로 유학을 떠날 때까지 이런 그녀와 연애를 하면서 뭉크는 끝없는 의심과 질투로 정신적 고통에 시달렸고, 결국에는 여성 전체를 가증스럽게 여기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그에게 여성은 마돈나이자, 메두사의 얼굴을 뒤에 숨긴 존재였던 것이다.

1 [마돈나] 1894~1895
2 [흡혈귀] 1893

1886년에 열린 화가들의 축제에서 크리스티아니아 보헤미안의 악명높은 리더이자 허무주의자인 한스 예거(Hans Jaeger)를 만난 뭉크는 인생의 전환점을 맞게 된다. 예거를 알게 되면서 뭉크는 자신의 ‘영혼의 일기’에 생각들을 기록하기 시작했고, 성장기의 기억, 사랑, 죽음 등에 관한 기록들은 작품들의 모티브가 되었다. 뭉크는 1889년에 크리스티아니아에서 개인전을 열게 되고, 이 덕택으로 파리의 레옹 보나 밑에서 2년간 공부할 수 있는 장학금을 받는다.

파리, 베를린에서의 생활과 걸작의 탄생

뭉크는 파리에서의 수업에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해 몇 개월 지나지 않아 그만두었으나, 이때 접한 고갱, 반 고흐, 로트렉을 비롯한 유럽 작가들의 작품에 매료당하기도 했다. 그해 겨울 뭉크의 아버지가 무일푼인 상태로 죽자 뭉크는 가족의 생활비를 담당하게 되고, 아버지의 죽음으로 깊은 우울증에 빠져 자살 충동을 느끼기도 했다.

1892년에는 독일 베를린 미술협회의 초청으로 개인전을 갖고 55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그러나 베를린의 언론들은 뭉크의 그림을 혹평했고, 개인전을 지속할지를 놓고 회원 총회의 찬반 표결까지 벌어졌다. 결국 뭉크의 개인전은 8일 만에 중단되었는데 이는 후에 ‘뭉크 스캔들(Munch Affair)’이라고 불리게 된다. 뭉크는 정작 이 ‘뭉크 스캔들’ 덕분에 유명해지고, 이후 4년을 더 베를린에서 지내며 ‘생의 프리즈’와 관련된 스케치를 하게 된다. 뭉크는 베를린의 예술가 모임에서도 유명한 인물이 되어 ‘검은 돼지’라 불리는 보헤미안 모임에까지 가입해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 같은 사람들과 친분을 쌓는다.

1893년에 그려진 [절규]는 소리 지르면서 절규하는 뭉크 자신의 내면적인 고통을 그린 것으로, 그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하다. 뭉크는 인물을 S자 모양으로 비틀어 입을 크게 열고 눈을 크게 뜬 채 경악하는 자신과 현대인의 불안한 모습을 담고 있다. [절규]의 배경은 다리 위의 거리이지만 내면세계를 활보하는 자아의 모습인 것이다. 뭉크가 이 작품에 대해 얼마나 많은 애착이 있었는지는 변형시킨 작품의 수가 50종이 넘는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이같은 내면세계에 대한 탐구, 잠재의식에 관한 관심, 자아에 대한 발견은 뭉크가 평생에 걸쳐 심혈을 기울인 주제들이다.

1 [절규] 1893
2 [칼 요한 거리의 저녁] 1892

1893년 베를린에서 열린 전시에서 뭉크는 [시리즈의 연구: 사랑]이라는 제목으로 여섯 작품을 선보였다. 이는 그가 후에 [생의 프리즈 - 삶, 사랑, 그리고 죽음의 시]라고 부르는 연작의 시작이 되었다. 뭉크는 그의 작품세계를 대변하고 있는 [생의 프리즈]를 1888년부터 스케치하기 시작하여 30여 년 동안 작업을 이어갔다. 부분적으로 소개되었던 [생의 프리즈]는 1902년 베를린 분리파전을 통해 처음, 체계적으로 완성된 형태를 갖추어 발표되었다. (이 연작 시리즈에는 위에서 소개된 [마돈나(Madonna)], [흡혈귀(Vampire)], [절규(Scream)] 등이 포함되어 있다).

툴라 라르센과의 만남과 고독한 말년

다시 크리스티아니아로 돌아온 뭉크는 또 한 번의 상처를 안겨준 여인, 툴라 라르센(Tulla Larsen)을 만난다(1899). 34살이 된 뭉크는 상류층의 툴라 라르센과 깊은 관계로 발전하면서 자신의 예술적 황금기를 맞게 되지만, 그녀의 끈질긴 결혼 요구에 못이겨 결별하고 만다. 이에 툴라 라르센은 꾀병으로 뭉크를 불러 권총으로 위협하였고, 마침내 총이 뭉크의 손가락을 관통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둘은 완전히 갈라선다. 이에 뭉크의 여성혐오가 더욱 심해지고, 몇 년 후 [마라의 죽음]과 같은 작품을 탄생시킨다. [살인녀] 또한 이 사건과 관련된 작품이다.

1 [살인녀] 1906
2 [마라의 죽음Ⅰ] 1907

이후 과도한 음주와 싸움 등으로 인해 불안증세는 더욱 심해졌고 환각증세까지 겪던 뭉크는 의사 야콥슨(Dr. Daniel Jacobson)의 병원에 입원해 8개월 동안 요양을 하면서 치료를 받았다. 병세가 호전된 후의 작품들은 그의 작품을 인상적으로 만들었던 신경증적이고 비관적인 느낌이 줄었으며 보다 밝고 다양한 색으로 칠해졌다.

뭉크는 그간 작품을 팔아 번 돈으로 스퀘옌(Skøyen)의 에켈리(Ekely)라는 지역에 넓은 땅을 사들여 그 곳에서 그림을 그리며 20여 년을 보낸다. 그림은 대개 풍경이었고, 여러 점의 자화상을 그리기도 했다. 뭉크에게 있어 작품은 그의 자식과도 같았기 때문에, 한 점의 작품이 팔리면 똑같은 소재의 작품을 다시 제작하였다고 한다. 이는 현재 뭉크 미술관이 그의 전 작품을 소장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뭉크는 또한 엄청난 양의 판화작품들을 제작하였는데, 판화의 가치가 뭉크에 의해 높아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80세의 생일을 맞이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944년 1월 23일 뭉크는 눈을 감는다. 그의 유언에 따라 모든 작품들이 시에 기증되었는데, 유화 약 1,100여 점, 판화 약 18,000여 점, 드로잉과 수채화 약 4,500여 점, 조각 6점, 그리고 92권의 스케치북과 편지, 수많은 석판 원들 등 엄청난 양의 작품과 자료들이었다.

그가 탄생한 지 100주년이 되던 1963년에 뭉크 미술관이 개관하였다.

통합검색 검색결과 더보기


관련이미지 5

SELF-PORTRAIT(1895)

SELF-PORTRAIT(1895)

이미지 갤러리

출처: The Munch Museum©The Munch Museum/Munch-Ellingsen-Gruppen/BONO 2013

1/5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연관정보

발행일

발행일 : 2010. 04. 09.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