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 놓고 뭉친 콘솔업체, 심의료 인상 '안 돼!'

일반입력 :2011/01/17 10:20    수정: 2011/01/17 17:21

김동현

한국 비디오 게임 산업의 존망(存亡)을 놓고 게임물등급위원회(이하 게임위)와 의견 대립 중인 국내 비디오 게임 업체들이 심의 수수료 인상 철회를 위해 ‘한 목소리’를 냈다.

소니컴퓨터엔터테인먼트코리아를 비롯해 반다이남코파트너스코리아, 캡콤엔터테인먼트코리아, 인플레이 인터렉티브, 인트라링스 등 약 10여개의 국내 비디오 게임 업체들은 지난 10일 올해부터 시행될 예정인 등급 심의 수수료 인상 철회 및 중복 규제 등의 개정을 원하는 의견서를 게임위에 제출했다.

이번 의견서에는 ▲심의 수수료 인상안 동결 ▲멀티 플랫폼 게임에 대한 이중 심의 수수료 개정 ▲온라인 게임과 비디오 게임 산업 차이 인정하고 별도 심의 테이블 마련 ▲다운로드 게임에 대한 현실적인 계수 제도 도입 등으로 구성돼 있다.

심의 수수료 인상 건은 게임위의 올해 예산 68억9천7백만 원 중 게임물 등급분류와 관련된 직·간접비는 38억8천7백만 원, 이중 24억5천만 원을 심의를 받는 업체에서 부담하는 것이 맞는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불거졌다.

하지만 이번 심의료 인상안이 지난해 3월 등급 심의 수수료가 3배 가량 인상된 이후 얼마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결정돼 관련 게임 업체에서는 ‘비디오 게임 죽이기’ 정책이라는 비난을 받아왔다.

한 비디오 게임 업체 관계자는 “기초가액 100% 인상을 비롯해 장르 및 비한글화 등 각종 계수별 인상으로 인해 300% 인상된 심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며 1천장도 판매하기 어려운 국내 콘솔 산업 내에서 2~3백장 판매금과 맞먹는 무리한 심의 수수료 인상은 이 산업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 콘솔 게임 유통 업체에 따르면 게임 타이틀의 평균 판매량은 3~4백장 수준이며, 한글화된 타이틀의 경우 4~5백장 판매된다고 한다. 1천장 이상 판매되는 타이틀은 연내 출시되는 150여개 중 10개 미만이다.

또한 X박스360(Xbox360)과 플레이스테이션3(PS3) 등의 멀티 플랫폼용으로 출시되는 게임 타이틀에 대해서는 기존 플랫폼 별 등급 심의 수수료를 내는 방안에서 게임별로 심의를 받는 형태로 개정을 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현재 등급 심의는 플랫폼별로 등급 심의를 받도록 되어 있다. 최근 PS3, PS2, Xbox360,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등으로 출시된 게임 ‘위닝 일레븐 2011’을 예로 들면 동일한 한 개의 타이틀로 4번의 심의를 받아야 하고 수수료 역시 4번 내야 한다.

이렇게 될 경우 심의 수수료만 1천만 원 수준이 된다. 만약 한글화까지 하지 않은 상태라면 5백만 원 이상이 추가로 발생한다. 모든 플랫폼을 팔아서 2~3백만 원의 수익 정도 남기는 비디오 게임 업체 입장에서 심의 수수료 인상이 생존을 위협하는 요소로 보이는 것은 당연하다.

더불어 심의료 인상의 주요 원인으로 꼽는 재심의 비용마저도 콘솔 게임 사업자에게 공동 부담 시키는 점도 콘솔 업체가 납득하기 어려운 요소 중 하나다. 재심의 대부분은 온라인 게임이나 아케이드 게임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한 비디오 게임 업체 관계자는 “모바일 게임도 한 번 심의를 받으면 SK텔레콤이나 KT, LG텔레콤 등으로 모두 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안다”며 “비디오 게임도 이중 규제를 없애고 산업을 발전 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뀌길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국내 비디오 게임 업체의 ‘목소리’가 담긴 의견서를 받은 게임위 측은 최대한 업체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게임위와 비디오 게임 산업 자체가 상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장협 게임위 사무국장은 “이번 심의수수료가 단순히 게임위가 부담을 축소시키기 위해 진행되는 것은 절대 아니다”며 “일부 오해가 있다는 점은 확실하게 풀고 게임위와 업체가 지금의 상황을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길 희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