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화성시 매송면 송라리에 소재한 쌍룡사 굿당에서 2012년 3월 13일 청춘남녀 망자들을 위한 '영혼결혼식'이 열렸다
▲ 영혼결혼식 화성시 매송면 송라리에 소재한 쌍룡사 굿당에서 2012년 3월 13일 청춘남녀 망자들을 위한 '영혼결혼식'이 열렸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청실홍실 엮어서 이 명당에 놀구나 가시오. 이승에서 못다 한 사랑 저승에서 이루소서."

구성진 가락이 울려 퍼진다. 2012년 3월 13일(화) 오전 11시.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송라리 381번지에 소재한 쌍룡사 굿당. 그 굿당 안 한 방에서 울려나오는 소리다. 이 날 굿은 살아생전 결혼을 하지 못하고 세상을 뜬, 청춘남녀를 결혼시키는 '영혼결혼식'이다.

영혼결혼식이란 죽은 망자들끼리 결혼을 하는 것이다. 결혼을 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청춘남녀들은, 아무래도 부모나 가족들의 마음속에 깊은 한을 남기게 된다. 그런 남녀를 맺어주는 자리이니, 결혼이라고 해서 기쁘기보다는 오히려 더 깊은 슬픔이 배어있다.

영혼결혼식은 전통혼례로 거행되었다. 굿상 앞 우측에는 신부가, 좌측에는 신랑이 자리하고 있다.
▲ 신랑신부 영혼결혼식은 전통혼례로 거행되었다. 굿상 앞 우측에는 신부가, 좌측에는 신랑이 자리하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신랑신부의 상에는 시계와 팔찌 등 각종 패물까지 준비되어 있다.
▲ 패물 신랑신부의 상에는 시계와 팔찌 등 각종 패물까지 준비되어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이승에서 못 이룬 사랑, 저승에서 이루소서"

이날 결혼을 하는 망자 중 신랑은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거주하는 평창 최씨의 아들이고, 망자 신부는 충주 지씨의 딸이다. 이들은 일찍 세상을 떠나 가족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양쪽 집안의 굿을 주관한 당주는 이미선(여) 무녀이고, 굿에 동참한 주무와 무녀는 고성주(남)와 이정숙(여)이다. 그리고 굿청에 들어선 악사는 박노갑(피리, 태평소)이 맡아했다.

아침부터 굿상을 차린 일행은 인형으로 된 신랑과 신부를 모셔드렸다. 그리고 상 위에는 한복이며 패물들이 진열되고, 전통 결혼식과 같은 준비를 했다.

"낮이면 물을 건너고 밤이면 용을 타고 정처 없이 가는 길이, 저승의 신혼여행 길이라네. 부디 이승에서 못다 한 사랑, 저승원문 들어가서 원도 없고 한도 없이 부디부디 잘 사시오."

이날 굿을 연 당주 이미선이 대신거리를 하고 있다
▲ 당주 이미선 이날 굿을 연 당주 이미선이 대신거리를 하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여무 이정숙이 창부, 서낭거리를 하고 있다.
▲ 이정숙 여무 이정숙이 창부, 서낭거리를 하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들으면 왈칵 눈물이라도 날 것만 같다. 남무 고성주의 앉은부정으로 시작한 굿은 상산으로 접어들었다. 큰머리를 머리에 이고, 그 위에 갓을 올린 고성주의 소리는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고도 남는다. 벌써 이 길로 들어선 지 40년 가까이 되었다. 어딜 가나 당대 최고의 재능을 가진 사람으로 통한다.  

"마른나무에 물이 오르고, 산천에 싹이 돋고, 계절이 좋은 시절이라. 좋고 좋은 날 가려내어 선남선녀 신방 꾸미고, 저승원문 함께 들어가 만년천년 해후 하시라고."

보기 힘든 영혼결혼식, 끝까지 지켜봐

영혼결혼식은 정말 보기가 힘든 굿이다. 자주 있지도 않지만, 제가집(망자의 가족)이나 당주(굿을 맡은 무녀)들도 별로 반기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운 좋게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볼 수가 있었다. 30여 년 굿판을 누비면서도 영혼결혼식은 3~4번 정도 밖에 볼 수가 없었으니 그 귀함은 가히 짐작할 만하다.

시계 방향으로 굿상 앞에 마련한 초례청. 전안례를 올리고 있다. 신랑 신부가 초례청으로 들어오고 합근례를 하고 있다.
▲ 혼례식 시계 방향으로 굿상 앞에 마련한 초례청. 전안례를 올리고 있다. 신랑 신부가 초례청으로 들어오고 합근례를 하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전통혼례를 마친 신랑과 신부가 신방을 차렸다.
▲ 신방 전통혼례를 마친 신랑과 신부가 신방을 차렸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청춘남녀가 죽었다고 해서, 모두가 다 영혼결혼식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망자들도 모두 택일을 하고 사주를 다 본다. 수십 쌍을 사주 보지만, 이루어지는 것은 극히 일부라는 것이다. 그만큼 더 이루어지기 힘든 것이 영혼결혼식이다. 영혼결혼식은 일반 굿과는 다르다. 먼저 안굿을 하고 난 다음, 굿상 앞에 초례청을 차린다. 신랑과 신부는 전통혼례와 같은 방법으로 혼인식을 마치고 나면, 신방을 꾸미게 된다.

이렇게 망자들인 신랑신부가 신방을 꾸미고 나면, 바로 지노귀굿을 하게 된다. 망자의 천도굿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날 굿은 고성주의 상산다음에 당주인 이미선의 대신거리와 이정숙의 창부, 서낭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난 다음 초례청을 차리고, 전안례부터 시작이 되었다. 신랑이 신부에게 기러기를 전하고 난 뒤, 초례청으로 신랑과 신부가 입장을 했다.

초례청에 마주한 신랑신부는 서로 맞절을 하는 교배례를 하고, 술잔을 서로 나누는 합근례를 하게 된다. 서로가 세 번 술을 나누어 마시는 합근례를 하고 난 다음에, 신랑신부는 미리 준비해 놓은 옆방에 신방을 차렸다. 방에는 미리 준비한 작은 이부자리가 깔려있고, 두 망자를 상징하는 인형을 누인 후 불을 껐다.

바리공주를 마친 주무 고성주가 망자의 넋을 이고 돌영을 돌고 있다.
▲ 돌영 바리공주를 마친 주무 고성주가 망자의 넋을 이고 돌영을 돌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당주 이미선이 신랑신부를 안고 고성주의 뒤를 따르고 있다
▲ 망자 당주 이미선이 신랑신부를 안고 고성주의 뒤를 따르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진한 슬픔을 목으로 넘겨

가족들이야 이런 모습을 보면서 얼마나 마음이 갈래갈래 찢어질까? 아마 그 깊은 슬픔은 어느 누구도 감당하지 못할 것이다. 굿을 주관하는 무녀들은 연신 듣기 좋은 말을 한다. 그것이 바로 굿에서 보이는 모습이다. 그런 말을 들으면서 조금이나마 마음의 위로를 얻게 되는 것이다.

지노귀굿은 말미라고도 한다. 바리공주부터 시작해, 망자의 상인 말미상을 놓고 고성주가 춤을 추면서 돌영을 돈다. 그 뒤로 망자의 옷과 신방에서 나온 두 신랑 신부를 안고 있는 당주 이미선이 뒤따른다. 그렇게 돌영이 끝나고 나면, 바로 밖으로 나가 길을 가른다. 저승길은 험하고 또 험하다고 한다. 그 길을 잘 갈 수 있도록 길을 닦는 것이다.

밖으로 나간 일행이 저승 길을 가르는 길가르기와 가시문넘기기, 그리고 제사를 지내는 상식을 올리고 절을 하고 있다
▲ 가시문넘기기 밖으로 나간 일행이 저승 길을 가르는 길가르기와 가시문넘기기, 그리고 제사를 지내는 상식을 올리고 절을 하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길 가르기가 끝나고 나면 가시문 넘기기를 한다. 저승길은 가시밭이 있다고 한다. 그 가시밭에 걸리지 않고 저승원문에 들어갈 수 있기를 축원하는 것이다. 8시간에 걸친 영혼결혼식은 그렇게 끝이 났다. 망자의 가족들이 상식을 올리고 난 뒤 뒷전으로 끝을 냈다. 끝으로 뒷전을 하면서도 두 사람의 영혼이 저승에 들어가 백년해로를 할 수 있도록 축원을 한다.

"그저 저승원문에 들어가 백년해로를 하실 적에, 두 사람 모두 인도환생 하시어서 이승에서 다시 만나 못다 한 사랑 이루시고..."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수원인터넷뉴스와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영혼결혼식, #청춘남녀, #망자, #신방, #가시문넘기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