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월요기획] 광주ㆍ대전 역세권 등 '1조원대 대형 프로젝트' 추진 탄력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19-10-07 06:00:10   폰트크기 변경      

총 사업비 1조원 이상…광구역세권은 민자만 7400억원대

주거비율 높이는 등 사업성 확보해야…안 되면 유찰 못 피해

“최대 250억원을 지원받는 도시재생 뉴딜사업 단독이라면 사업성 면에서 민간을 유인할 매력이 없다. 하지만 이게 지역의 역세권과 연계된 복합개발사업이라면 얘기가 다르다. 수천억원대 규모의 개발사업을 외면할 건설사는 없다.” 한 중견사 개발사업 담당 임원의 말이다.

이제까지 총 4건의 도시재생 프로젝트가 첫 삽을 뜨고 본격화한 가운데, 민간은 향후 진행될 프로젝트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게 광주ㆍ대전역세권 개발사업이다. 지하철을 중심으로 500m 반경 내외, 도보로는 5~10분 안팎인 지역을 의미하는 역세권은 수도권, 비수도권 막론하고 유동 인구가 많다는 점에서 사업성 또한 보장되는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토부는 총 사업비 1조156억원 규모의 ‘광주역 복합개발사업’의 활성화계획을 승인했다. 광주역 인근 50만㎡에서 진행되는 복합개발은 공공기관 이전, KTX 미진입에 따라 저하된 교통 시설을 다양한 문화 콘텐츠 시설로 바꿔 구도심의 활력을 되찾는 게 골자다. 여기에는 20만㎡ 규모의 도시재생 뉴딜사업도 연계돼 있다.

총 사업비(1조156억원)는 △국비(뉴딜사업비) 250억원 △시비 250억원 △부처간 협업 2163억원 △민자 7493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일단 광주시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선정돼 국비 250억원이 확보된 만큼, 추진을 위한 발판은 마련했다고 보고 있다.

광주시는 코레일과 공동으로 ‘광주역 복합개발 기본구상 및 철도시설 이전계획 수립용역’을 발주해 ‘유아컨설턴트종합건축사사무소+삼안’ 컨소시엄을 낙찰자로 선정했다. 컨소시엄은 올해 말까지 복합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게 된다.

총 1조원 규모의 대전역세권 복합개발사업은 이제까지 총 3차례 민간 사업자 공모했지만 모두 유찰되면서 단기적인 추진 동력은 상실한 분위기다. 대전시와 코레일 측은 현재 주거용지를 늘리는 등 토지이용계획을 수정하고, 민간의 자율적 사업계획을 보장하는 한편 용적률 확대 등 인센티브도 제공하는 방향으로 전체적인 틀을 수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이 사업에는 국내 10대 건설사 중 한 곳이 눈독을 들이고 있었지만, 집객 효과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 등이 보장되지 않으면서 결국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올 하반기 민간 사업자 공모할 4차의 향방에 업계 및 지역 사회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정석한기자 jobize@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경제부
정석한 기자
jobize@c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