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붓다의 45년간 교화 활동으로 승단이 확립되었다. 불멸 후 라자가하(Rājagaha)에서 마하카샤파(Mahākāśyapa 가섭)등을 중심으로 우팔리(Upāli)가 율장(vinaya)을, 아난다(Ānanda)가 경장(Sūtra)을 암송, 제1차 결집(council)이 주최되었다. 여러 국가의 왕과 제후 그리고 일반 서민이 귀의하는 계기가 되었으나, 불멸 후 100년 경 제2차 결집이 있던 시기에 율에 대한 첨예한 대립으로 분파가 야기되어 분열한다. 그러나 기원전 260년경 아쇼카에 의해 국가적 차원에서 막대한 재정 지원으로 다시 부흥기를 맞이하였으나, 외도들의 난입으로 승가는 혼란하였다. 이 계기로 제3차 결집 후, 아들 마힌다와 딸 상가 미타에 의한 口傳과 보리수 이송 등으로 인도 남부 스리랑카로 파견하여 이 지역에 전래되었다. 스리랑카는 국가적 차원에서 불교를 받아들이고 문화가 융성한 흥행기가 있었으나, 아쇼카 死後 인도 남부 국가의 침략과 國內의 여러 사정에 의한 國難으로 위기에 처한 시점에 두 파벌간(대사파 · 무외산사파)의 갈등으로 제4차 결집을 개최, 구전의 암송으로 전래된 <빨리 삼장>을 패엽경에 기록 편찬하여 삼장 체제가 완비되어 오늘날 불교 중심 국가가 되었다. 본 논문은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가 스리랑카 안착 過程에서 불교 교단과 국가의 흥망성쇠가 야기되는 가운데 결집(council)의 주최에 의한 국가와 종교의 직 · 간접적 상관성, 그리고 종교 철학의 확립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했다.


Buddha's enlightened activity as long as 45 years was established Saṃgha. Buddha's after the death, in Rājagaha of Mahākāśyapa sectarian centered around such as Upāli vinaya, Ānanda recite Suttra, vinaya and Dhamma to maintain by the 1st council to compile the pāvacana. The Minister of King's and general populace be namassati was missionary in places, but Buddha's death after 100 years old the time about vinaya was sectarian give rise to divide a period second coucil. However, Aśhoka circa 260 years B.C., again by the son Mahinda after the third coucil is to the southern India and Sri Lanka, as do the introduction. Accept the culture flourished for Buddhism in moment a charity performance there were foreign aggression but the conflict between two factions at the period fourth Buddhist councils, did by a compilation, <Pāli Tipiṭaka> today was a Buddhist Center of the country. Buddhism in Sri Lanka have occurred in India a course of being caused b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ise and fall of the State religion, politics and religion caused a correlation effect on the establishment of a religious philosophy of social be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