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페이스북 "뉴스콘텐츠 확보에 3년간 1조1천억원 투자"

송고시간2021-02-25 08:46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정성호 기자
정성호기자
페이스북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페이스북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정성호 특파원 =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이 24일(현지시간) 앞으로 3년간 뉴스 콘텐츠 이용권 확보에 최소한 10억달러(약 1조1천72억원)을 쓰기로 했다고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페이스북은 이날 뉴스 발행사들로부터 뉴스 사용권 허가를 받는 데 최소 1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페이스북의 이번 조치는 정보기술(IT) 공룡들이 자사 플랫폼에 띄우는 뉴스 콘텐츠 비용 지불 문제를 두고 세계 각국 정부로부터 조사를 받는 와중에 나왔다고 WSJ은 지적했다.

영국 부총리 출신인 페이스북의 닉 클레그 글로벌업무 부사장은 "페이스북은 뉴스 발행업체들과 기꺼이 협력할 의향이 있다"며 "우리는 양질의 저널리즘이 열린 사회가 작동하는 방식의 핵심에 있다는 것을 전적으로 인정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페이스북이 약속한 10억달러는 이 회사가 이미 2018년부터 가디언과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의 매체에 지불해온 6억달러와는 별개의 것이다.

앞서 세계 최대 검색엔진 업체 구글도 지난해 '구글 뉴스 쇼케이스'에 들어갈 뉴스 콘텐츠 사용권을 확보하기 위해 3년에 걸쳐 10억달러 이상을 지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페이스북은 최근 호주 정부와 뉴스 콘텐츠 사용료 지불 문제를 두고 일전을 벌였다. 호주 정부가 뉴스 사용료를 강제하는 법안을 추진하자 페이스북이 이에 반발해 호주에서 뉴스 서비스를 중단한 것이다.

그러나 이후 비판 여론이 빗발쳤고, 페이스북은 호주 정부와 협상 끝에 뉴스 서비스 유료화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다만 강제 중재가 발동되기 전 페이스북이 뉴스 발행업체들과 추가로 협상할 수 있도록 했다.

이처럼 호주가 뉴스 유료화에서 성과를 내자 캐나다 등 다른 나라들도 비슷한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히고 나선 상황이다.

클레그 부사장은 그러나 이날 논란을 부른 호주에서의 뉴스 차단 조치를 옹호하기도 했다. 호주의 당초 법안대로라면 페이스북이 중재 제도에 따라 글로벌 미디어 기업들에 잠재적으로 무한한 액수의 돈을 지불해야만 했다며 "이는 사람들이 차에서 라디오를 들을지 모른다며 완성차 업체에 라디오 방송국에 자금을 대도록 강제하고, 가격은 방송국이 정하도록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페이스북은 개발 중인 뉴스 제품에 올라올 뉴스 콘텐츠 제공업체들과 개별적으로 계약을 맺을 계획이다.

sisyph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