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독립 직후 인도는 자급자족할 수 있는 경제 건설을 목표로 사회주의식 계획경제 모델을 도입했다. 산업에 대한 강력한 인허가 제도, 공공부문 확대를 통한 산업화, 수입대체정책 등을 실시했고 이와 같은 정책은 1980년대 초반 인도가 부분적인 경제개혁을 실시하기 전까지 이어졌다. 정부의 강력한 규제와 간섭으로 낮은 생산성과 경제성장률로 이어져 1951년부터 1980년까지 인도 경제 성장을 ‘힌두 성장’이라고 비꼬듯이 표현하기도 한다. 최근 우리나라와 인도의 경제 협력이 강화되면서 인도 경제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51년부터 1980년까지 ‘힌두 성장’을 인도 경제 발전 과정의 기저로 보고 이 시기의 인도 경제 정책과 산업에 대해 분석해 인도 경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그러나 본 연구는 ‘힌두 성장’ 기간 동안의 계층 간 그리고 주(州) 간 불평등과 같은 문제 등을 다루지 못했다. 이는 향후 연구 과제로 남겨둔다.


After the Independence, the Indian government introduced the socialistic planned economic model to establish self-sufficient economy. Tight regulation and intervention by the Indian government led to low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from 1951 to 1980, describing as ‘Hindu Rate of Growth.’ As Korea and India have a stronger economic relation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India’s economy. In this sense, this research analyzes Indian economy from 1951 to 1980, which is regarded as a foundation of India’s economic development. For further study, it is suggested to examine inequality among classes and states from 1951 to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