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05년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이 개발한 ‘러시아 고려인 140년 이주개척사’ 디지털콘텐츠 스토리뱅크는 새롭게 보완되어야 한다. 4년 전의 개발과정에서 우크라이나 고려인 스토리가 전혀 반영이 되지 않았다. 중앙아시아를 넘어 러시아, 우크라이나에도 한류의 흐름이 일어나고 있다. 한▪우크라이나 문화산업 교류의 활성화에 우크라이나문화를 잘 알고 한국문화 이해가 높은 우크라이나 고려인의 역할이 커져야 한다. 특히 우크라이나 고려인이 다문화 속에서 살아온 이야기는 한국인보다 우크라이나 고려인, 나아가 한국문화를 습득한 우크라이나 현지인이 더 잘 개발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고 있는 고려인과 우크라이나 학생들의 스토리뱅크 구축과 영상콘텐츠 제작 능력은 한국과 우크라이나 양국의 문화산업 발전에도 유익하다. 이들에 대한 영상콘텐츠 교육은 우크라이나 고려인협회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의 몫이기도 하다.


The digital contents story bank of ‘140 years of Ethnic Korean(Koryosaram)’ in Russia developed by KOCCA in 2005 should be enhanced. The story of ethnic Koreans in Ukraine was not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Korean wave has spread throughout Russia and Ukraine beyond Central Asia. To promote exchange of Cultural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Ukraine, Ethnic Koreans(Koryosaram) in Ukraine, who are familiar with both Ukraine and Korean cultures, need to play more active roles. Ethnic Koreans in Ukraine, especially those who incorporated Korean culture, are in a better position than Koreans to tell their own stories about how they have lived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Ukraine Universities, there are Ukraine and Ethnic Korean students who are studying Korean. Their skills of setting story bank and producing visual materials are beneficial to Cultural Industries of both Korea and Ukraine. The ethnic Korean society in Ukraine and the Korea government must work together to provide the needed education for producing visual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