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경제 위상 진단과 경쟁력 분석
인도 경제 위상 진단과 경쟁력 분석
목차

요 약 / 1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인도 경제의 글로벌 위상과 성장 전망

 

Ⅱ. 경제성장 요인별 분석

1. 분석 방법

2. 노동 요인

3. 자본 요인

4. 생산성 요인

5. 제도 요인

 

Ⅲ. 경쟁력 활용전략

1. 생산성 경쟁력을 활용한 진출분야 선정

2. 자본 경쟁력을 활용한 진출 방안

 

Ⅳ. 시사점

1. 협력의 새로운 방향과 목표 설장

2. 요인별 경쟁력 활용.

요약

□ 글로벌 경기침체기 인도가 유일한 고성장국가로 부상하면서, 인도 경제의 고성장세 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

   이 증폭

 ◦ 인도는 ’16년 1사분기 7.9%로 전세계 최고 성장률을 기록

 ◦ 인도는 우리나라 7대 수출대상국일 뿐만 아니라, ’16년 6월 CEPA 개선 협상을 개시함에 따라 양국 협력의 방향과 분야의

   재설정이 필요

 

□ 인도 경제성장의 지속 가능성 및 성장 요인별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인도는 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노동생산

   성이 지속 성장하고 있고 제도 개선에 따라 총생산성은 높으나, 자본 효율은 매우 낮음.

 ◦ (노동) 경제활동참여 인구가 많아(66%) 인구보너스 효과가 높고,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민․관의 노력으로 노동의 질도 빠

    르게 개선

 ◦ (자본) 가계나 금융기관보다는 민간기업에 의한 자본축적 비율이 높고 특히 NRI, FDI, M &A 등을 통해 해외 유입 자본의

    역할이 확대

 ◦ (생산성) 시장서비스 및 저노동집약 분야 노동생산성이 높아 총생산성은 견실한 성장세를 보이나, 자본생산성은 1990년

    대 수준에서 정체

 ◦ (제도) 모디정부가 강조하는 굿거버넌스가 정착되고 있고, 조세, 토지, 노동의 3대 개혁이 꾸준히 진행됨에 따라 생산성

    향상에 기여

 

□ 따라서 우리 기업은 비용절감 보다는 생산성 향상을 겨냥한 대인도 진출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M &A를 통한

   진출도 추진할 것을 제안

 ◦ 노동, 자본의 양적․질적 증가와 생산성의 지속 향상으로 향후에도 인도 경제는 고성장 추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은 것으

    로 평가

 ◦ 따라서 저비용 생산보다는 IT 및 IT응용서비스, BT, 전자․전기기기, 인프라 및 건설 등 생산성이 높은 분야 중심의 인도 진

    출 확대가 유리

 ◦ 인도 자본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외국자본 투자방식을 참고하여, 우리나라도 M &A를 통한 인도 진출에 보다

    공격적 접근 필요.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