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일본은행 다음 서프라이즈는 (-) 금리 폐기"

"日 국채시장 기능 개선 의지는 금리 + 전환 가능성"

[편집자주]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 <자료사진> © AFP=뉴스1

일본 중앙은행 일본은행(BOJ)이 내년 마이너스(-) 금리에서 탈출하는 서프라이즈를 연출할 수 있다고 골드만삭스가 전망했다. 장기(10년 만기 국채) 금리의 상한을 0.25%p 인상한 데에 이어 내년에는 (-) 0.1%인 단기금리도 양(+)의 영역으로 끌어 올릴 수 있다는 얘기다.

21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나오히코 바바 일본 이코노미스트는 투자 노트에서 "BOJ가 일본국채(JGB) 시장의 기능성을 개선할 필요성을 크게 강조했다는 것은 내년 (-) 금리정책을 폐기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 금리를 폐기하면 BOJ의 국채수익률 통제(YCC) 정책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할 것이라고 바바 이코노미스트는 예상했다.

바바 이코노미스트는 BOJ가 장기금리의 허용폭을 추가로 확대할 것 같지는 않다고 예상했다. 다음은 더 큰 조치가 나올 것이라며 "정책금리 목표를 바꾸거나 YCC를 폐기할 수 있다"고 그는 예상했다.

물론 (-) 금리는 "(BOJ) 통화정책의 핵심"이고 2% 인플레이션 목표를 달성하지 않고 폐기하기 어렵다고 바바 이코노미스트는 인정했다. 하지만 BOJ가 금융기관에 가한 부담이 크고 글로벌 장기금리 트렌드와 얼마나 멀어졌는지를 감안하면 다음으로 예상되는 바람직한 조치는 (-) 금리정책을 폐기하는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초저금리의 세계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닻(anchor)이었던 BOJ가 돌연 완화축소를 결정한 것은 추가 긴축의 징후라는 시장의 전망에 골드만삭스가 새로운 목소리를 더한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BOJ는 충격적 완화 축소를 결정했고 이후 기자회견에서 구로다 하루히코 총재는 금리인상이 아니라고 선을 그으며 채권시장의 기능성을 향상을 의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shinkirim@news1.kr

많이 본 뉴스

  1. 심수봉 "유모가 돈받고 6세 딸 前남편에 넘겨…핑클 덕 재회"
  2. "밀양 네번째 가해자, 공공기관 근무…윗선에선 '지켜주자'고"
  3. 봉태규 "아버지 실족사 기사에 악플…연예계 떠나려 했다"
  4. 김지선 "아들 3명 층간소음 이해해준 아랫집 고3, 의대갔다"
  5. "남편 나가면 엘베는 그대로, 옆집 문 소리…불륜인가요?"
  6. 철없는 대학생 남편, 임신한 아내 놔두고 수시로 헌팅포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