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인도, 러시아산 원유 보이콧 요구 거부…"가격상한제 신중 검토"

송고시간2022-09-06 11:52

beta
세 줄 요약

인도 정부가 주요 7개국(G7)이 결정한 러시아산 원유가격 상한제 참여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 러시아산 원유 보이콧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5일(현지시간) 미 CNBC 방송에 따르면 시리 하르디프 싱 푸리 인도 석유·천연가스부 장관은 이날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2022 가스테크' 행사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러시아산 원유 수입에 따른 도덕적 갈등이 존재하느냐는 질문에 자국 소비자에 대한 도덕적 의무를 거론하며 어떠한 갈등도 없다고 밝혔다.

이어 G7이 합의한 러시아산 원유가격 상한제에 대해서도 지지 여부를 신중히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서울=연합뉴스) 김계환 기자 = 인도 정부가 주요 7개국(G7)이 결정한 러시아산 원유가격 상한제 참여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 러시아산 원유 보이콧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5일(현지시간) 미 CNBC 방송에 따르면 시리 하르디프 싱 푸리 인도 석유·천연가스부 장관은 이날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2022 가스테크' 행사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러시아산 원유 수입에 따른 도덕적 갈등이 존재하느냐는 질문에 자국 소비자에 대한 도덕적 의무를 거론하며 어떠한 갈등도 없다고 밝혔다.

푸리 장관은 인도 주변 국가들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보라면서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의 각료로서 에너지가 부족한 상황을 원하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인도의 하루 원유 소비량이 500만배럴 정도이며 원유 대부분은 이라크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들여오고 있다면서 원유 수입에서 러시아산 원유의 비중은 3월 말 기준 0.2%에 불과했다고 강조했다.

또 유럽의 반나절 분 러시아산 원유 수입량이 인도의 분기 수입량보다 많을 것이라면서 인도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확대했다는 일부의 비난을 일축했다.

이어 G7이 합의한 러시아산 원유가격 상한제에 대해서도 지지 여부를 신중히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세계 경제는 아직도 코로나19 대유행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에 적응하고 있는 상태라면서 고려할 요소가 많아 많은 대화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어떤 국가가 G7이 제안한 러시아산 원유가격 상한제에 동참할지와 에너지 시장에 미칠 영향도 불확실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앞서 G7 재무장관들은 지난 2일 화상회의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러시아산 원유와 석유제품에 대한 가격 상한제를 긴급하게 시행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국가별로 가격상한제 시행을 위한 조처를 긴급히 추진할 계획"이라며 "유럽연합(EU)의 6차 대러 제재 패키지 관련 조처에 맞춰 시행 시기를 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에너지 시장 애널리스트들은 EU가 가격 상한제 동참을 촉구해도 인도와 중국 같은 주요 소비국이 참여하지 않기로 하면 역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면서 합의 이행 가능성에 회의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고 CNBC는 전했다.

밝게 빛나는 인도 루자라트 주의 정유 시설
밝게 빛나는 인도 루자라트 주의 정유 시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kp@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