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고 전시회 초대권 받자!

중국, 내달 지준율 0.25%p 인하…시중에 93조원 푼다

김혜리 기자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중국이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경기 위축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들어 두 번째로 지급준비율(지준율)을 인하하기로 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5일 홈페이지를 통해 다음 달 5일부터 은행 지준율을 0.25%포인트 인하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경제를 살리기 위해 유동성 공급에 나선 것이다. 이번 인하 후 중국 금융권의 가중평균 지준율은 7.8%로 낮아진다.

지준율은 은행이 예금 중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적립해야 하는 비율을 말한다. 중앙은행이 지준율을 낮추면 시중은행 입장에선 대출 여력이 늘어난다. 인민은행은 이번 조치로 시중에 공급되는 장기 유동성이 5000억위안(약 93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인민은행은 지난 4월에도 은행 지준율을 0.25%포인트 인하했다. 당시엔 해당 조치로 시장에 공급되는 장기 유동성이 5300억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인민은행의 이번 지준율 인하는 사실상 예고된 상태였다. 앞서 지난 22일 국무원은 리커창 총리 주재로 상무회의를 연 뒤 다음날 관영 CCTV를 통해 “시기적절한 지준율 인하 등 통화정책 수단으로 유동성을 합리적이고 여유 있게 유지할 것”이라 밝혔다. 지난해 12월3일 리 총리가 국제통화기금(IMF)과 회의에서 지준율 인하를 언급한 후 사흘만에 인민은행이 이를 실행에 옮겼고, 지난 4월에도 국무원 지준율 인하 방침이 알려진 후 이틀 뒤에 인민은행의 조치가 나왔다.

이번 인하 결정은 코로나19 통제에 따른 경기 둔화에 대응하기 위한 카드로 풀이된다. 현재 중국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일일 신규감염자 수가 3만명을 넘어서면서 베이징·상하이·광저우 등 대도시가 일부 봉쇄되는 등 방역 고삐를 다시 죄고 있다. 전날 노무라증권은 현재 중국 산업생산의 21.1%를 차지하는 지역이 코로나19에 따른 봉쇄나 각종 규제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추산했다. 지난 14일 15.6%였던 이 수치는 며칠 사이에 5%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한 달 전만 해도 이 수치는 9.5%였다.

중국의 지준율 인하는 세계 금융 시장 흐름을 좌우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흐름과 반대되는 움직임이다. 세계 주요국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긴축 흐름에 동참하고 있지만, 중국은 코로나19 대확산으로 충격에 빠진 자국 경제의 안정을 위해 반대의 선택을 했다.

중국의 경제 위기는 성장률 수치로도 확인할 수 있다. 중국 당국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목표치를 5.5%로 잡았지만, 1분기 성장률이 4.8%를 기록한 뒤 2분기에 0.4%로 급전 직하했다. 3분기엔 3.9%로 반등했지만 이미 올해 목표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또 중국은 10월 소매 판매 성장률이 지난해 동월 대비 0.5% 줄었으며 부동산 침체도 이어지고 있다.


Today`s HOT
중국전 준비하는 축구 대표팀 김연경 초청 세계 여자배구 올스타전 라스베이거스에서 유세하는 트럼프 파리 에펠탑에 설치된 올림픽 오륜기
3연임 모디 총선 승리 중국 수능 가오카오 시작
법원 나서는 오타니 전 통역사 배타는 트럼프 치킨
침수된 하노이 거리 노르망디 80주년 기념식 한국, 싱가포르에 7대 0 대승! 나이로비 거리로 나온 케냐 사회 운동가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