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예수금 뜻과 D+1, D+2 의미 알아보기

2021. 11. 17. 19:39카테고리 없음

 

주식을 매수할 때 예수금이라는 용어를 접하게 되는데 이 예수금을 정확히 알고 넘어가지 않으면 주식거래에 있어 필수인 증거금, 미수금, 대용금에 대해서 이해하지를 못해서 주식 투자에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습니다. 주식용어인 예수금의 뜻과 활용방법을 통하여 실속있는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 1. 주식 예수금 뜻

        · 예수금이란?

        · 예수금 D+1, D+2 의미

 

   ⊙ 2. 주식 증거금 뜻

        · 증거금이란?

        · 주식에서의 증거금 이해

 

   ⊙ 3. 주식 미수금 뜻

        · 미수금이란?

        · 미수금과 반대매매

 

   ⊙ 4. 주식 대용금 뜻

        · 대용금이란?

        · 주식에서의 대용금 이해

   

 

 

민곰 블로그 썸네일 사진
출처 : Mingom2.tistory.com

 

 

 

 

 주식 예수금 뜻

 

  • 예수금이란?

주식거래에서 사용하는 예수금이란 영어로는 Deposit이라고 부르며 사전의미로는 거래와 관련하여 임시로 보관하는 자금을 뜻하며 주식거래에 사용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가지고 있는 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며 고객예탁금이라고도 합니다.

 

  • 주식에서의 예수금 이해

주식 투자를 위해서는 증권사 계좌가 필요하죠. 우선 계좌개설을 해야하고 주식을 사기위한 금액을 개설한 증권계좌에 넣어두어야 합니다. 통장에 돈이 없는데 물건을 살 순 없기 때문이죠. 그리고 여기에 주식을 매도하기 위하여 입금하여 보관되어 있는 돈을 예수금이라고 합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주식을 사기 위해서는 예수금이 필요하고 예수금을 통하여 주식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가지고 있던 주식을 팔았을 때 생긴 매도금액 역시 예수금에 포함됩니다.

  1. 예수금 : 주식을 매수하기 위해 보관되어 있는 금액
  2. 주식 매수하는 방법 : 예수금을 통하여 주식거래가 가능하다.
  3. 주식을 팔았을 때 들어오는 매도금액도 예수금에 포함된다.

 

<참고>
매수 : 주식을 사는 것
매도 : 주식을 파는 것

 

MTS HTS 수수료 비교하기

 

  • 예수금 D+1, D+2 의미

주식을 매수, 매도하기 전 주식결제방식을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D+2시스템 또는 3일 후불제라고도 하는 이 결제방식은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에서는 주식 매매를 했을 때, 금액이 바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매도를 했을 때 매매일 포함 3일 뒤에 거래가 진행되는 방식입니다. MTS/HTS 거래상으로는 매매가 바로 성사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내 주식계좌에 들어오는 것은 매매일로부터 2일이 지난 날짜에 금액이 들어오게 됩니다. 

<참고>
HTS (Home Trading System) 
MTS (Mobile Trading System)

 

MTS HTS 비교

 

 

 

예를들어 월요일에 주식을 매도하였다면 매도한 날 포함해서 3일인 수요일에 출금할 수 있습니다. 만약 주말이나 공휴일이 포함되어 있어 금요일에 매도를하였다면 화요일에 출금을 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예수금 구분을 D+1, D+2로 표시해주게 되는데요. D+1은 예수금을 가지고 주식을 매도하고 하루가 지났나는 뜻이고 마찬가지로 D+2는 예수금을 가지고 주식을 매도하고 이틀이 지났다는 뜻으로 D+2에서 출금이 가능합니다.

  1. 예수금 D+1 : 매도하고 하루가 지남 (출금불가)
  2. 예수금 D+2 : 매도하고 이틀이 지남 (출금가능)

 

 

 

 

 

 주식 증거금 뜻

 

 

주식에서의 증거금은 간단하게 생각하자면 현금담보대출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앞서 예수금으로 주식을 매수한다고 하였었는데 만약 이 예수금이 부족할 때 예수금을 담보로하여 더 많은 금액의 주식을 살 수 있는 보증금과 같은 개념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 주식에서의 증거금 이해

주식거래시 예수금에 대한 보증금을 지불하고 난 다음 차액을 지불하는 시스템으로 지금 타이밍에 매수를 하고 싶은데 금액이 부족해서 매수를 못하는 상황에서 증거금 비율만 납부를 하여 매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신용카드와도 비슷한 개념입니다. 그리고 이 증거금 비율을 증거금률을 말하며 보통 40%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참고>
(증거금률은 보통 40%로 설정되어 있지만 증권사별로 조금 씩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증거금 계산
만약 어떤 종목의 주가가 10만원이고 증거금률이 40%라고 가정했을 때 4만원으로 1주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공모주청약에서의 증거금
공모주청약의 증거금률은 50%으로 최소증거금이 공모가x10주x50%의 금액으로 계산됩니다.

 

 

 

 

 

 주식 미수금 뜻

 

 

미수금이란 증권사의 입장에서 투자자에게서 아직 받지 못한 돈을 의미하며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증권사에 갚아야하는 돈을 의미합니다. 현재 통장에 가지고 있는 금액보다 더 큰 금액의 주식을 구매했을 때 발생이 되며 금액이 마이너스되었기 때문에 대출을 받아 주식을 구매하였다고 생각하시면 되며 일반적인 대출처럼 갚아야 합니다.

<참고>
미수금의 계산 (증거금률을 사용하여 주식을 구매했을 때)
10만원인 종목을 예수금을 주고 1주 구매시 증거금률 40%에 대하여 4만원을 주고 주식을 산 것이 됩니다. 그러면 나머지 내지 않은 6만원은 미수금이 됩니다.

 

 

 

  • 미수금과 반대매매

미수금은 갚아야할 금액이라고 하였는데 만약 이를 지키지 못하고 금액을 다시 채워주지 못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먼저 미수금은 2일안에 갚아야 하는데 2일이 지나서 D+3일이 된 날짜의 오전 동시호가때 하한가에 자동으로 팔리게 되는 보유한 주식이 강제매매되는 반대매매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주식 대용금 뜻

 

  • 대용금이란?

대용금이란 간단하게 생각하자면 주식담보대출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주식은 원칙적으로는 예수금으로 매수를 하여야 하지만 예수금이 부족할 때 내가 가지고 있는 주식을 담보로 대출처럼 사용할 수 있는 대용금이 있습니다. 

 

 

주식 매수 매도하는 방법

 

 

  • 주식에서의 대용금 이해

대용금은 담보로 적용할 보유 주식 평가액(총금액) 70~80%의 비율만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대용금은 대출과 같은 계념이기 때문에 이자가 나가며 보통 10% 내외 입니다. (증권사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이 이자는 2일안에 갚아야 합니다.

<참고>
대용금의 계산
만약 1만원의 주식을 100주 보유하고 있다면 내주식의 총금액은 100만원이고 대용금은 70~80%인 70~80만원을 대용금으로 주식을 매수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식 매수 매도하는 방법

 

 

 

728x90

  ▽  친구에게 알려주기 ▽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