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난 어선원 구조 “골든 타임을 잡아라”

입력
수정2021.12.21. 오후 6:15
기사원문
송현수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해수부, 바다 내비게이션 활용
조난위치 발신장치 시범 운영
손목시계 등 형태로 착용 편리
어선원 조난위치발신장치 운영 개요. 연계 체계: 어선원 조난위치발신장치(손목밴드 등)→선상 조난위치수신장치→ 바다 내비게이션(e-Nav) 선박단말기→ LTE-M 통신망→ 지능형 해상교통정보(e-Nav) 센터→ 어선안전조업관리시스템(수협). 해수부 제공


해양수산부는 어선 충돌·전복 등으로 조난된 어선원을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바다 내비게이션(e-Navigation, 지능형 해상교통정보체계)’ 체계를 활용한 ‘어선원 조난위치 발신장치’의 시범운영을 22일 개시한다고 21일 밝혔다.

그간 어선사고가 발생하면 어선에 설치된 초단파 무선설비(VHF-DSC)와 같은 위치발신장치를 통해 어선의 위치는 확인할 수 있었지만, 어선원이 해상으로 추락하거나 탈출한 경우에는 어선원의 위치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 수색과 구조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해수부는 착용이 편리하고 조난 시에도 위치발신이 가능토록 손목시계·목걸이 등의 형태로 어선원 조난위치발신장치를 개발했다.

해수부 제공


해수부는 이 장치를 연근해어선 7척에 설치하고, 바다 내비게이션(e-Navigation) 선박단말기에 연계함으로써, 연안에서 최대 100km 해상까지 어선원의 조난위치를 24시간 실시간으로 어선안전조업관리시스템(FIS)에서 탐지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 시범운영한다.

향후 1년간 시범운영을 통해 어선원 조난위치발신장치의 통신거리, 기상상황별 조난신호 수신율 및 LTE-M 통신망과의 연계 안정성 등을 점검하고 전면 확대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홍순배 해수부 첨단해양교통관리팀장은 “바다 내비게이션 체계를 활용한 어선원 조난위치발신장치가 본격적으로 운영되면 해상에 추락한 어선원의 위치를 육상에서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바다 내비게이션 체계가 해상안전은 물론 우리 선원의 안전과 편익을 증진하고, 해군함정 원격의료지원 등 다양한 곳에도 쓰일 수 있도록 이용을 활성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