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 브리핑

뉴스 브리핑

매일 중국에서 발행하는 언론사의 최신 뉴스를 요약·번역하여 제공합니다.

뉴스브리핑

G7의 대중 견제에 대한 中 정부 입장

2022-06-30

□ 중국 정부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나온 대중 견제 발언을 조목조목 반박함. 

◦ 6월 27일 중국 외교부(外交部) 정례 브리핑이 개최됨. 
- 미국 정부가 ‘신장 위구르 강제노동 방지법(UFLPA)’의 발효를 선언한 이후 25일에는 존 커비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이 G7 정상회담에서 중국 강제노동 문제를 재차 언급한 것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자오리졘(赵立坚) 외교부 대변인은 “한동안 미국이 신장(新疆)을 통해 중국을 제재하고자 했다. 그러나 역사적 사실을 살펴보면 1525~1866년 1,250만 명의 아프리카인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팔려가 강제노동을 당했다. 지금도 매년 해외에서 인신매매로 끌려와 미국에서 노동력을 착취당하고 있는 사람이 10만 명에 달한다”라며 “강제노동은 중국이 아닌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다”라고 지적함.

◦ 중국의 일대일로(一带一路·육해상 실크로드)에 맞서 개발도상국 인프라에 6,000억 달러(약 771조 원)를 투자하기로 한 G7의 결정에 대해 자오 대변인은 “‘일대일로’ 이니셔티브가 창설된 이후 지난 9년간 관련 국가들이 실질적인 수혜를 입었다. 세계은행의 추산에 따르면, ‘일대일로’의 교통 인프라 사업이 모두 운영될 경우, 2030년까지 매년 전 세계 GDP의 1.3%에 해당하는 1조 6,000억 달러(약 2,056조 원)의 수익이 창출될 것이다. 수익의 90%는 파트너 국가와 나누게 될 것”이라며 “‘일대일로’ 파트너 국가 중 서방 국가의 발언처럼 ‘일대일로’로 인해 ‘채무 함정’에 빠졌다고 말하는 국가는 없다”라고 반박함. 

◦ 6월 29일 개최된 국무원 타이완 판공실(国台办) 언론브리핑에서는 마샤오광(马晓光) 대변인이 G7 정상회의 직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타이완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재차 강조한 것에 대해 “타이완은 중국의 일부로, 타이완 문제는 순전히 중국의 내정이다. 어떠한 간섭도 용인할 수 없다”라고 지적함. 
- 그는 “미국과 서방이 타이완을 이용해 중국의 발전과 통일을 막으려고 하고 있다. 이는 매우 위험한 행위이다. 타이완 민진당(民进党)과 타이완 독립 세력의 움직임은 눈감아주고 오히려 중국을 타이완해협의 평화와 안정의 파괴자라고 비난하고 있다. 이는 진실을 왜곡하는 행동”이라며 “타이완 독립 세력에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것과 중국 내정 간섭을 중단해야 한다. 불장난하는 자는 스스로 불에 타죽게 될 것”이라고 강조함.

목록